티스토리 뷰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갑자기 피곤함이 몰려와 잠에 드신적이 있으신가요? 휴식을 충분히 취했음에도 졸음이 밀려오고, 자도 자도 피곤하고 너무 게을러지셨다면 기면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피곤한 데는 당연히 원인이 있겠지만, 그 원인이 기면증일 수도 있습니다.
기면증 증상
1. 탈력발작
갑작스레 몸의 근육이 탁 풀려버리는 현상입니다. 몸의 모든 근육에 힘이 풀려버리면서 넘어지거나 주저앉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증상의 탈력발작은 보통 기면증 화나자가 갑작스러운 감정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갑자기 웃긴 일이 생겨 웃는다던지, 욱 해서 화가 치민다던지 등의 갑작스러운 감정 변화가 있을 경우입니다.
하지만 그런 급격한 감정 변화와 강한 감정을 느낀다고 해서 매번 온몸의 근육이 풀리는 것은 아니며, 작은 근육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정도입니다. 팔이나 다리에 힘이 빠져 노곤 노곤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고, 경미한 경우는 얼굴 주변 근육의 떨림 정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는 전신의 근육에 힘이 풀리는 듯한 느낌이 들며 넘어질 수도 있으니 주의하는 게 좋겠습니다.대체로 근육의 탈력발작이 일어나는 부위는 얼굴 근육과 눈꺼풀, 팔, 다리라고 합니다.
2. 수면 마비
수면 중 몸에 마비가 오는 증상입니다. 혹은 잠에서 깨는 와중에 마비가 올 수도 있습니다. 우리 신체는 잠을 자는 동안 근육이 마비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수면 마비는 수면상태에서 깨어났음에도 이 마비상태가 유지되는 것인데요.
잠에서 깨는 와중 마비가 온다면 본인의 의식은 뚜렷하지만 몸은 마음대로 움직여지지 않는 현상을 겪게 됩니다. 흔히 말해 가위눌림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 가위눌림 현상은 일반 사람들에게도 나타나기도 하지만, 기면증 환자에게는 자주 일어나게 된다고 합니다.
수면 마비와 동반해서 환각증세를 볼 수도 있다고도 하는데요. 잠에 들기 전, 잠에서 깨기 직전에 환각을 경험하게 되며 이것은 극도의 공포감을 형성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것이 수면 마비와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기면증 환자들의 공포감이 심해진다고 합니다.
3. 수면 발작 (주간 과다 수면)
과다 수면이라고도 합니다. 잠을 잘 시간이 아닌 낮시간에 잠에 대한 욕구가 쏟아져 갑작스레 잠을 자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 증상은 기면증 초기 증상입니다. 기면증을 앓고 있는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 수면 발작이 나타나게 되면 아무런 전조증상 없이 갑자기 낮잠을 자게 됩니다.
수면 시간은 몇 분에서 몇십 분 사이라고 합니다. 이 증세가 심할 경우 수면 발작이라는 사실을 본인이 눈치챌 수 있지만, 대부분은 눈치채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저 피곤해서 잠이 많이 오는 걸 거야 하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기면증 원인은 뭘까?
하이포크레틴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부족입니다. 신경펩티드 호르몬이라고도 합니다. 이 하이포크레틴이 부족하면 기면증 증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또는 유전적인 이유라던지, 중추 신경계의 장애로 기면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기면증에 대한 완치 연구결과가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꾸준한 관리를 통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 방법이 있으며, 약물치료와 생활치료가 있습니다. 생활치료는 하루의 수면시간을 정한 뒤 취침하는 것입니다. 낮잠시간도 정하여 하루에 1~2번 정도 잘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또한 주변 사람들에게 기면증을 알려 일상생활 중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D 부족증상 비타민D 많은 음식 알려드려요 (0) | 2020.08.12 |
---|---|
젊어져요 양태반 효능 부작용 총정리 (0) | 2020.08.11 |
로얄제리 효능 로열젤리 부작용 (0) | 2020.08.09 |
간편하고 쉬운 허벅지 살빼는 운동 따라해봐요 (0) | 2020.07.22 |
실생활 이명 치료 방법 총정리 (0) | 2020.07.08 |